교육시설·환경연구센터

Home > 센터소개

센터소개

Mission and Vision

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·환경연구센터(EDUMAC)는 교육시설·환경의 선진화를 통한 교육의 질 향상을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. 학교배치, 교육환경영향평가와 같은 외부적 요소부터 그린스쿨, U-school 등의 내부적 요소에 이르기까지 교육시설 관련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교육시설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축적, 제공하고 있으며, 교육시설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학교시설사업 지원 등 교육시설·환경에 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와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

지속발전 가능한 교육시설 · 환경정책 전문기관

  • 교육시설·환경
    정책을 선도하는
    연구·개발강화
    미래 교육시설·환경
    정책 및 현장 혁신
    연구·개발 강화
    데이터 기반의
    합리적 시설·환경
    연구·개발 강화
  • 교육시설·환경
    연구 및 정책지원
    성과확산
    수요자 맞춤형
    연구·개발 및 정책
    지원 성과 확산
    국내·외 네트워크
    활성화 및 교류
    활동 강화
  • 교육시설·환경
    전문기관으로서의
    사업지원
    센터 성과 활용도
    제고를 위한 각종
    시스템 개발·관리
    종합적, 체계적
    교육시설·환경 전문
    교육 및 연수 강화
  • 센터 조직의
    안정성 및 전문
    강화
    지속 가능한 교육
    시설·환경 정책지원
    사업 확보
    정책 선도를 위한
    조직 역량강화

연혁

 
  • 2020년
    • - 생활SOC 학교시설복합화사업 지원 전문기관(교육부)
  • 2019년
    • - 민간투자사업 민간 제안서 검토 전문기관 지정
      (기획재정부)
  • 2018년
    • - 학교용지·학교시설 무상공급 지원 및 지방교육행정
      기관 타당성 조사 전문기관 지정(2018.5.1.)
    • - 학교용지·학교시설 무상공급 지원 업무 한국교원
      대학교(산학협력단) 이관(2019.1.1.)
  • 2017년
    • - 학구도 국가공공데이터 등재
    • - 학교시설통합정보시스템(Edubuil) 오픈
    • - 교육환경평가 전문기관 업무 교육환경보호원(2018.2.14.개원)으로 이관
    • - 학생건강증진 및 학교급식 안전관리업무 교육환경보호원(2018.2.14.개원)으로 이관
  • 2016년
    • - CPTED 시범학교 운영 사업 지원 전문기관(교육부)
    • - 민간투자사업 전문기관: 학교(기획재정부)
  • 2015년
    • - 교육시설 민간투자 재무모델 검토 전문기관
      (고용노동부)
    • - 교육시설 민간투자 지원업무 확대: Non-Stop서비스
      (교육과학기술부)
  • 2014년
    • - 교육시설 민간투자 재무모델 검토 전문기관
      (미래창조과학부)
    • - 교육환경평가 전문기관 지원업무 확대: 일조권 검토
      (교육과학기술부)
  • 2013년
    • - 교육환경평가 전문기관 지원업무 확대
      (교육과학기술부)
    • - 교과교실제 전문기관 업무 확대: 적정성 검토
      (교육과학기술부)
  • 2011년
    • - 교과교실제 지원 전문기관(교육과학기술부)
    • - 교육환경평가 전문기관(교육과학기술부)
    • - 학교용지 및 학교시설 무상공급 지원기관
      (교육과학기술부)
  • 2010년
    • - 교육시설민간투자 전문기관(교육과학기술부)
    • - 학교시설복합화사업 전문기관(기획재정부)
  • 2006년
    • - 교육시설민간투자지원센터 개소